부산 카운트다운 축제는 12월 31일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0시 50분까지 이어지며 특히 올해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축제로 꾸려 시민들이 각자 사연을 전하는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자세한 중계 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 카운트다운 부산
행사일시 ; 2023.12.31(일) 오후 10시 ~2024.1.1(월) 오전 12시10분
대상 : 일반 시민 누구나
*행사장에는 선착순 1,200명이 입장 가능한 좌석이 마련되고 입장은 당일 오후 10시부터 시작됩니다.
[부산 카운트다운 시청 바로가기]
라이브 : 유튜브 ‘캐내네 뮤직’, ‘수영구TV’
유튜브 상단 홈, 동영상, 쇼츠, 라이브, 재생목록, 커뮤니티 중 라이브를 클릭하시면 실시간 생중계 스트리밍을 통해서 카운트다운 부산 행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카운트다운 축제는 31일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0시 50분까지 이어지며 백사장에서는 카운트다운 불꽃 이벤트, EDM 파티 등이 열립니다. 2만 여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돼 지자체가 안전관리에 나섰습니다.
올해의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11시부터 새해 첫날인 2024년 1월 1일 0시 30분까지 부산유라시아플랫폼 광장에서 ‘유라시아 새해카운트다운’을 개최합니다. 자세한 중계 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2월 31일(일) 오후 11시부터 클래식과 K-POP 버스킹 공연을 시작으로 다이나믹한 미디어아트 퍼레이드가 펼쳐집니다. 자정이 다가오면 대형 미디어아트월에서 2024년 새해를 맞이하는 카운트다운이 시작되고 부산 주요 인사들의 새해 인사와 시민들이 전하는 희망 메시지도 표출됩니다.
[부산 카운트다운 중계 바로가기]
유라시아 새해 카운트다운은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행사로 부산역 광장의 상징인 대형 미디어아트월의 LED패널을 활용하여 새해 카운트다운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해돋이 명소
일출은 지구는 자전하기 때문에, 아침이 되기 전 태양이 점점 솟아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지평선 혹은 수평선 위로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일출이라고 하고, ‘해돋이’라고도 부릅니다.
한국에서 일출의 기준은 태양의 붉은 원 상단이 지평선 혹은 수평선에 걸쳐지는 순간이며, 일출시간도 이 순간을 기록합니다. 일몰도 똑같이 태양의 붉은 원 상단이 수평선에 닿는 순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태양의 붉은 원 중심이 지평선 혹은 수평선에 걸쳤을 때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전국 해돋이 명소
강원도
강릉시 경포대
강릉시 정동진
양양군 낙산사
속초시 영금정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
울산광역시
울주군 간절곶
경상남도
함양군 지리산 천왕봉
양산시 천성산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대
해운대구 청사포
기장군 해동용궁사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국립공원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
여수시 향일암
[서울 보신각 타종 시청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일출봉
서귀포시 광치기해변
서귀포시 형제섬
충청남도
당진시 왜목마을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 팔각정 광장
광진구 아차산 해맞이 광장
경기도
고양시 행주산성
여주시 파사산
대한민국 평균 일출 시간
대한민국 서울의 일출 시간은 하지 기준 05시 11분, 동지 기준 07시 43분입니다.
한국의 최동단이 독도이니 독도가 일출이 가장 이를 것 같지만, 그건 동지에나 그렇지 하지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여름에는 위도가 높을수록 해가 일찍 뜨기 때문입니다.
하지 무렵 일출이 가장 이른 곳
전국: 함경북도 경흥군 동번포 인근 (04시 41분)
남한: 강원도 동해안 (05시 02분)
하지 무렵 일출이 가장 늦은 곳
전국: 전라남도 진도군 (05시 23분)
남한: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 (05시 22분)
동지 무렵 일출이 가장 이른 곳
전국: 독도 (07시 26분)
남한: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대송리 간절곶 (07시 31분)
동지 무렵 일출이 가장 늦은 곳
전국: 평안북도 용천군 마안도 극서단 (08시 05분)
남한: 강화군 교동도 (07시 52분)
참고로 2년 만에 허용된 새해맞이 한라산 정상 야간산행 안전 관리도 강화됩니다. 제주도는 한라산 정상 또는 윗세오름 해돋이 전망대 인파 밀집도를 줄이기 위해 통제선을 설치하고 안전 요원을 배치합니다. 또 상황실을 운영해 폭설 등 기상이변에 대처하고, 기상이 악화하면 등산을 전면 통제합니다. 예약을 못 한 탐방객을 위해 1월 1일 오전 5시부터 어리목·영실 탐방로 입장을 허용할 예정입니다.